1) 성형가공성 ① ABS수지의 장점인 우수한 가공성을 갖고 있어 Polycarbonate 수지와 비교하여 1.5~2배의 우수한 유동성을 보유하여 성형시 형성된 잔류응력에 의한 비틀림을 최소화하였으며,진행성 Crack등의 발생이 없습니다. ② 성형후 요구되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도금,미려한 외관 및 Design 용이성을 위한 도장 등 후가공성이 ABS 수준과 유사합니다. 2) 기계적 특성 ① 인장강도등 기계적 특성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동등수준이면서 우수한 충격강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② PC수지의 장점인 우수한 내열특성이 유지되어 온도변화에 의한 기계적 특성의 저하가 적어 광범위한 온도에서의 적용이 가능합니다. 3) 기계적 성질 ① staroy PC/ABS는 기타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비교하여 매..
전체 글 검색 결과
ABS는 저온에서도 양호한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으며, 견고하고 강인한 재료이다. 이 재료는 양호한 전기 절연성이 있어 습도변화에 의해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고, 통상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착색으로 이용되며, 이 제품의 성형품은 고도의 광택을 가지고 있다. 표면의 마찰상처나 표면손상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으나 변성이 되지 않는 이와 같은 재료는 양호한 내후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HIPS에 비해서는 뛰어난 내열성과 충격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밀도는 약 1.05이지만 중충격성, 자기소화성, GF함유 여부 등 그레이드에 따라 변한다. ABS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 그리고 스티렌을 공중합한 것이다. ▣ 유동성 비교적 유동이 용이하며, 유동성은 그레이드에 따라서 다르나 대체적으로 PS와 비슷하다. ▣ ..
어떤 블로그에서 3D 프린터에 관한 포스팅을 보고 내 스스로 생각하는 RP에 대한 지식을 적어 보기로 하다. (어디인지 잊어 먹었어요. ㅠㅠ) RP (Rapid Prototyping System)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쾌속조형기라고도 불리우며, 1970년대 이후 제품의 디자인과 설계가 컴퓨터 기반으로 이동하며 3차원 CG/CAD/CAM/CAE 소프트웨어의 급성장에 따라, 지난 1988년 미국 3D Systems 회사의 SLA (StereoLithography Apparatus) 시스템이 상용화에 성공한 이후로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대부분의 Rapid Prototyping System은 레이어 적층조형방식의 제작 원리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때 사용하는 재질 수지의 종류 및 고형화..
두 번째 표에 보면 Forward Voltage VF IF= 50mA - 1.3 1.7 V 이런 말이 있습니다. 이 LED에 50mA를 흘리면 LED양단의 전압이 1.3V 걸린다 이런 말입니다. 이 것을 조건을 사용해도 되고, 첫번째 그래프보면 전류흘러간 때 양단의 전압이 그래프로 나옵니다. 내가 사용할 전류를 정하고, 이 표를 보면 LED 양단의 전압이 나오므로 저항을 정할 수 있습니다 IF= 50mA,1.3V 이 걸로 하면 5V = 저항V + 1.3 입니다. 즉 저항에는 3.7V가 걸린다는 얘기죠 ULN2803에도 전압이 걸립니다. 데이타북이나 동작시킨후에 테스터로 찍어 보세요, ULN2803에 걸리는 전압도 빼기를 해 주어야 좀더 정확해 지겠죠. R=V/I=3.7V/0.05A = 74R 답 74R ..
최근댓글